“북텍사스는 바야흐로 한국식 치킨 전성시대”
북텍사스 지역에 바야흐로 ‘한국식 치킨 전성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한인 소비자들은 물론 타문화권 소비자들의 입맛까지 사로잡으며 수많은 한국식 치킨 업체들이 성업 중인 것이다. 캐롤튼과 달라스 로얄레인 한인타운을 중심으로 한인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브랜드만 꼽아도 10여 개의 업체들이 영업 중이다. 가장 최근 북텍사스에서 한국식 치킨 시장에 도전장을 낸 업체는 푸라닭(Puradak)이다. 푸락닭은 최근 캐롤튼 올드 덴튼 로드(Old Denton Rd.)와 프랭크포드 로드(Frankford Rd.) 교차지점 남동 코너 쇼핑몰에 문을 열었다. 푸라닭은 지난 2014년 한국에서 설립된 치킨 프랜차이즈로, 명품 패션 브랜드를 연상케 하는 상호로도 유명하다. 이 외에도 펠리카나 치킨(Pelicana Chicken), 비비큐 치킨(bb.q Chicken), 넘버원 플러스 치킨(No.1 Plus Chicken), 충만치킨(CM Chicken), H마트 내 또래오래 치킨(Toreore Chicken), 굽네치킨(Goobne Chicken), 본촌치킨(Bonchon Chicken), 요리엔 치킨(Yorienn Chicken) 등이 북텍사스에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점을 운영하며 한국식 치킨 시장 점유율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각자의 독특한 레시피로 차별화 전략을 벌이고 있다. 한국식 치킨이 북텍사스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인기를 구가할 수 있는 배경에는 닭고기가 미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단백질 식재료라는 전재가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국인들의 닭고기 소비량은 2010년부터 소고기 소비량을 넘어서며 꾸준히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미가금류협회(NCC)의 통계에 따르면 2019년 미국인 1인당 닭고기 섭취량은 96.2파운드, 2020년에는 1인당 95.4파운드로 증가했다. 리서치 전문기관 스테이티스타(Statista)의에 따르면 2019년 미국인 1억 725만 명이 냉동 닭튀김을 소비했고 2023년에는 이 수치가 1억 7,951만 명에 달했다. 여기에 한국식 치킨 특유의 달고 매운 맛의 소스, 간장 마늘 소스 등 다양한 소스를 더해 바삭하게 조리한 게 타문화권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다는 분석이다. 한국식 치킨의 가장 큰 매력은 독특한 조리법과 다양한 종류의 양념이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대부분의 한국식 치킨은 두 번 튀기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는 바삭하고 내부는 촉촉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타문화권 소비자들이 익숙했던 기존의 치킨과 달리 미국식 치킨에서 흔히 경험할 수 없었던 맛을 보인다. 전통적인 미국 치킨에 비해 한국식 치킨은 다양한 맛과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어 인기를 끈다. 대부분의 미국식 치킨은 기본 튀김이나 바비큐 스타일에 국한되는 것에 반해 한국 치킨은 매운맛, 달콤한 맛, 간장맛 등 다양한 소스를 통해 차별화된 맛을 볼 수 있다. 한류의 영향도 미국에서 한국식 치킨이 인기 메뉴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큰 이유들 중 하나라는 분석도 있다. 한국 드라마나 예능에 나오는 한국 음식들이 타문화권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마련인데, 치킨과 맥주를 함께 즐기는 이른바 치맥 문화가 타문화권 소비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 것이다. 드라마에서 본 한국식 치킨을 직접 시식해보고 싶어 한국식 치킨 업체를 찾는 것이다. 북텍사스와 같이 대형 코리안 타운이 형성돼 있다는 점도 타문화권 소비자들이 한류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다는 점도 한국식 치킨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게 된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식 치킨이 미국식 치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기름지다는 인식도 도움이 된다. 실제로 KFC나 파파이스 치킨 등 전통적인 미국식 치킨을 맛을 보면 기름에 범벅이 된 듯한 맛과 식감을 낸다. 하지만 한국식 치킨은 비교적 기름이 덜하고 식감이 바삭해 기름진 음식이라는 인식을 피하게 된다. 일부 한국식 치킨 브랜드에서는 올리브유나 다양한 허브와 향신료를 활용한 레시피를 통해 치킨을 비교적 건강하게 즐길 수 있는 음식으로 다가간다. 마케팅의 전략도 하나의 성공 요인으로 지목된다. 한인 소비자들을 주요 타깃으로 하지 않고 타문화권 소비자들을 주요 타깃으로 해 서비스나 메뉴 구성, 광고 등을 현지화에 성공시켰다는 평을 받는다. 북텍사스를 비롯한 미 전역의 한국식 치킨 브랜드 확장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6년 미주시장에 첫발을 내디딘 BBQ치킨을 시작으로 교촌치킨, 충만치킨, 페리카나, 굽네치킨 등이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한국식 치킨 업체들이 앞다퉈 미국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들 업체들이 한인타운에 몰려 한인 소비자들만 바라보기 보다는 얼마나 많은 타문화권 소비자들을 확보하느냐가 성패의 관건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토니 채 기자〉북텍사스 전성시대 한국식 치킨 타문화권 소비자들 한국 치킨